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61

[CSRF] CSRF(Cross-Site Request Forgery)란? CSRF (Cross-Site Request Forgery)는 웹 보안 취약점 중 하나로,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권한을 악용하는 공격 기법이다. 쉽게 설명하자면, CSRF는 공격자가 사용자를 속여서 원치 않는 작업을 수행하게 만드는 공격이다.CSRF의 개념웹사이트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. 그 사용자는 로그인한 상태에서 은행 계좌나 이메일처럼 중요한 웹사이트를 이용 중이며, 공격자는 이 사용자의 브라우저를 통해서 악의적인 요청을 해당 웹사이트에 보내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권한을 몰래 이용하는데, 이 공격이 바로 CSRF이다.   CSRF의 작동 방식사용자가 로그인함: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서버는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쿠키(작은 정보 파일)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합니다. 이 쿠키를 통.. 2024. 9. 9.
[SEO] 검색 엔진 최적화(SEO)란? 검색 엔진 최적화(SEO)란?SEO(Search Engine Optimization)는 웹사이트가 구글, 네이버, 빙 같은 검색 엔진에서 더 잘 보이도록(상위에 노출되도록) 하는 방법이다. 쉽게 말해서, 사람들이 검색 엔진에서 어떤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, 내 웹사이트가 상단에 나오게 하는 작업을 SEO라고 한다.1. 검색 엔진이란?검색 엔진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며, 예를 들어 구글, 네이버, 빙 같은 검색 엔진은 웹사이트를 검색하고,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.예시:구글에서 "치킨집"을 검색하면, 구글은 인터넷에 있는 수많은 치킨집 웹사이트 중에서 가장 관련성 높은 웹사이트를 상단에 보여주낟.2. SEO의 목표는 무엇일까?SEO의 목표는 내 웹사이트를 검색 결과 상단에 .. 2024. 9. 3.
[JavaScript] 서버사이드 렌더링(SSR)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(CSR)? 서버사이드 렌더링(SSR)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(CSR) ? 많이 들어봤을 것이다. 작동방식과 장점 단점을 알아보자 .  1.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(CSR: Client-Side Rendering)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은  브라우저(클라이언트)에서 페이지를 구성하는 방식이다.처음에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빈 HTML 파일을 보내고, 브라우저가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함으로써 페이지의 내용을 채우는 방식이다.요즘 유행하는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인 React, Vue.js, Angular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, 특히 Single Page Application(SPA) 방식에서 주로 사용한다.2024.07.18 - [IT] - [Web Page 와 Single Page Application] 웹 .. 2024. 9. 2.
[JavaScript] ES6란? ES6란 ES6(ECMAScript 6), 또는 ECMAScript 2015라고도 불리며, 자바스크립트의 주요 업그레이드 버전이다. ES6는 자바스크립트의 기능을 대폭 확장하면서 코드 작성이 더 쉬워지고, 효율적으로 바뀌게 만든 업데이트이다.  뭐가 업데이트가 돼었는지 하나씩 알아보겠다. 1. let과 constvar vs. let vs. constvar: 전통적인 변수 선언 방식이지만, 블록 스코프를 지원하지 않아서 변수의 범위를 제어하기 어려우며, 함수 스코프이다.let: ES6에서 새로 도입된 변수 선언 방식이다. let은 블록 스코프를 지원하여 if, for, while 같은 블록 내부에서만 변수가 유효하다.const: 상수 선언 방식이며, 한 번 값이 할당되면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다. 마찬가지.. 2024. 8. 30.
[JavaScript] undefined와 null 차이 null과 undefined는 모두 JavaScript에서 "값이 없음" 또는 "정의되지 않음"을 나타내는 값이지만, 둘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  null과 undefined 두 개념은 JavaScript의 타입 시스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, 각자의 의미와 사용 목적이 다르다. null과 undefined의 차이를 알아보자.  undefined: 정의되지 않은 값undefined는 JavaScript에서 "변수는 선언되었지만 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" 또는 "정의되지 않은 상태"를 의미한다.undefined의 특징자동 할당된 값: 선언만 하고 초기화하지 않은 변수는 자동으로 undefined 값을 가진다.let a;console.log(a); // undefined 함수의 인자: 함수 호출.. 2024. 8. 28.
[JavaScript] const, var , let 변수 선언 차이점 JavaScript에서 const, let, var는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 이다.  const, let, var 이 셋은 선언된 변수가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따라 중요한 차이점이 있으며, 간단하게 각각의 설명과 차이점을 알아보자.  var: 전통적인 방식의 변수 선언var는 JavaScript에서 가장 오래된 변수 선언 방식이며, 말이 좋아 전통적인 방식이라 하지 고였다고 보면된다 .. ES6 이전의 모든 코드에서 사용되었으며. var의 주요 특성을 알아보자. var의 주요 특징:함수 스코프(Function Scope): var는 함수 내부에서만 스코프를 가지며, 함수 외부에서 선언되면 전역 스코프에 속하게 된다.호이스팅(Hoisting): var로 선언된 변수는 호이스팅되어, 해당 변수가 선.. 2024. 8. 28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