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

[Hosting] 호스팅 유형별 작동 원리

by 승븐지 2024. 8. 26.
반응형
반응형

 

호스팅이 뭘까 ? 들으면 많이 아는 사람이 있지만 막상 뭐냐고 물어보면은 답을 못하는 경우가 되게 많다 . 나도 개념은 아는데 정확히 몰르겠어서 한번 알아보고 싶어 찾아보았다. !! 

 

호스팅(Hosting) 이란?
서버 공간과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.
웹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파일과 데이터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 하고 , 그 서버를 통해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과정이라 보면 된다. 
이제 4개의 호스팅 들을 알아보겠다. !

 

 

웹 호스팅 (Web Hosting)
웹 호스팅(Web Hosting) 
- 가장 일반적인 호스팅 방식이다. 
-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서버 자원을 공유하는 방식이다. 

특징은
- 가격이 저렴하고 관리가 쉽다.
- 하지만 서버의 자원은 한정적이다.

생각해보자면
어느 하나의 사이트가 트래픽이 많아지면 내 사이트에 성능 저하가 생기겠구나.

 

 

VPS 호스팅(Virtual Private Server Hosting)
VPS 호스팅(Virtual Private Server Hosting)  
-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여러 대의 가상 서버로 나눠서 각각의 서버처럼 사용하는 방식이다.
- 각자의 가상 환경이 존재하며 , 서버 자원을 개별적 할당을 받고 나만의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.

특징은
- 독립적인 자원이 사용이 가능하며, 확장성이 뛰어남.
- 딱 봐도 웹 호스팅보다 관리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, 비용도 높음. 

생각해보자면 
더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하는 웹 사이트에 이상적일거같다. 

 

전용 서버 호스팅(Dedicated Server Hosting)
전용 서버 호스팅 (Dedicated Server Hosting) 
- 서버 한대를 한 사용자에게만 할당함 .
- 서버의 모든 자원을 독점적 사용이 가능함. 성능이 좋으며 대규모 트래픽도 견뎌짐.

특징은
- 하나의 서버에 대한 통제가 가능 함
- 높은 성능 그리고 보안성도 좋아짐.

생각해보자면
트래픽량이 많은 기업에서 사용하면은 좋겠구나. 
그만큼 비싸겠고 전문성이 요구되며 고급 기술자들이 필요로 하겠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

 

클라우드 호스팅 (Cloud Hosting)

 

클라우드 호스팅(Cloud Hosting) 
- 여러 대의 물리 서버를 연결해 하나의 가상 서버처럼 사용하는 방식이다. 서버 간의 자원을 유연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자원 확장이 가능하다.
- 트래픽이 급하게 증가해도 필요에 따라 자원 할당이 가능하다.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보장이 된다. 

특징 
- 유연한 확장성과 안정성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함. 
- 하지만 트래픽 변동이 거의 없고 적다면은 상대적으로 또 비용이 많이나감. 

생각해보자면 
급격한 트래픽 증가에 대비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겠다.
대표 기업들로 보면 AWS와 Google Cloud , Ms Azure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 등 이 존재한다.

 

 

이미지출처 : ChatGPT

 

2024.08.26 - [IT] - [Sqoop] 스쿱 이란 ?

 

[Sqoop] 스쿱 이란 ?

이번애도 생소한 용어인 스쿱(Sqoop) 이란 무엇일까 ,, 궁금해서 구글링 등을 통해 한번 찾아봤다. 스쿱(Sqoop)Windows 환경에서 명령줄을 통해 간편하게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패키지 관

ycds.tistory.com

 

반응형